집에서 사용하는 무선공유기 암호화 방식은 WEP 방식은 사용하지 말자 WEP방식인 경우 뚫고자 하면 100% 뚫린다.
우선 다양한 툴들 중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aircrack-ng 로 설명을 하겠다.
파일은 http://www.aircrack-ng.org/index.html 여기서 다운 받으면 된다.
명령어나 구체적인 방법은 간단히 검색하면 나올 정도로 대중화된(?) 방법이니 찾아 보시고
참고) http://coolsoft2.com/969680
이야기 식으로 설명하자면
1. 해킹 대상 공유기 신호가 잡히는 곳에서 대상공유기의 BSSID와 채널을 확인한다.(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공유기 기본 동작 방식이 요청이 오면 최소한 자신의 BSSID와 채널정보는 보내주기 때문이다 - 핸드폰에서 요즘 WIFI검색해 보면 이런저런 많은 AP가 자동으로 검색되는 이유이다. 물론 AP옵션으로 변경 가능함)
2. 해킹 대상 AP를 선정하고 대상 AP에서 발생하는 패킷을 수집(dump)한다. - 안정적으로 해킹하려면 100,000개 정도의 패킷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이때 사용자가 PC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면 수집 시간이 많이 걸린다. 그래서 이 프로그램은 aireplay 라고 불리는 기능을 지원한다. 가짜(?) 데이터를 AP에 날려서 AP가 응답하는 패킷을 수집하는 기능이다.
3. 수집된 덤프파일을 프로그램에 대입해서 WEP키 값을 유추한다.
한방에 안될수도 있지만 몇번하면 100% 뚫린다. 암호화 방식의 취약점상 어쩔 수 없이
'관심사 > P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ndroid 원격접속 툴 (2) | 2013.02.25 |
---|---|
해커가 되려면? (0) | 2013.02.17 |
구글 검색 팁모음 (0) | 2013.02.15 |
트위터 사용팁 (for Iphone) (0) | 2012.09.19 |
명함한장 가지고 DSLR 내장플레시 활용하기 (0) | 2012.09.13 |